오늘 기사를 통해서 안타까운 소식 몇 가지를 접했습니다. 바로 변희봉 배우님의과 노영국 배우님이 모두 사망하셨다는 기사였습니다. 변희봉 배우님은 향년 81세의 나이라 별세하셨고, 췌장암 진단을 받은 후에 투병 끝에 완치 판정을 받았지만 암이 재발하면서 투병 끝에 세상을 떠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리고 노영국 배우님은 심방마비로 사망했는데, 향년 75세의 나이였다고 합니다. 그래서 오늘의 포스팅은 심장마비에 대해서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심장마비란?
개인적으로 심장마비가 가장 무서운 것 중에 하나라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잠을 자다가 갑자기 심장마비로 사망한다고 생각했을 때, 난 그냥 잠을 잤는데, 깨어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니까요. 근래에는 젊고 건강한 사람 또한 심장마비를 겪는 일들이 많아 졌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심장마비는 무엇일까요?
심장마비 (cardiac arrest)는 문자 그대로 심장이 효과적으로 전신에 피를 공급하는 능력을 상실한 상태로 심장급사뿐만 아니라 무슨 병으로든지 사망할 때는 마지막으로 심장이 멈추는 심장마비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뇌파를 검사해서 뇌사에 합당한 결과가 나오면 심장이 정상이어도 사망으로 간주하기도 합니다.
출처 : 부정맥학회.
부정맥학회의 내용을 보면 심장급사라는 말이 언급되어 있습니다. 돌연사중에서 갑작스러운 심장기능 상실로 인한 뜻하지 않은 사망을 일컫는다고 합니다. 기억하시는 분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만, 지난 유로 2020 대회에서 덴마크 선수가 경기도중 쓰러지면서 이 후 병원으로 이동되는 일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정밀 검사 후 급성 심장마비였었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쓰러졌을 당시 선수와 주심들이 빠른 대처로 큰 화를 면할 수 있었습니다.제가 언급했던 가장 무서운 것 중 하나라고 생각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본인의 건강과 상관없이 갑자기 찾아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심장마비의 원인은?
알려진 바에 따르면 심장마비의 가장 큰 원인은 심근경색/협심증/부정맥입니다. 심근경색이란 심장의 동맥 혈관이 혈전 때문에 막히면서 심장에 혈액 공급이 안되는 상태를 말하고, 협심증은 동맥경화증등의 질환으로 일시적으로 심장에 혈액 공급이 부족해지면서 흉통이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리고 부정맥은 심근경색을 유발시키면서 돌연사로 이어지게 됩니다.
위 세 가지 원인중에서도 대부분의 심장마비는 관상동맥 중 하나가 혈전에 의해서 갑자기 차단될 때 발생하게 되는데, 이 혈전의 대부분은 동맥경화증이 있을 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콜레스테롤 및 다른 지방 물질이 동백에 천천히 축적됩니다.
심장마비의 전조증상
그렇다면 우리는 심장마비의 전조증상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 갑자기 가슴에 심한 통증이나 압박감 또는 짓누르는 느낌이 있다.
- 갑자기 턱,목 또는 등 부위에 심한 통증이나 답답함이 있다.
- 갑자기 숨이 많이 찬다.
- 갑자기 팔 또는 어깨에 통증이나 불편함이 느껴진다.
그 외에 다른 신호는 식은땀, 메스꺼움 또는 약간의 어지러움증이 생기는 것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심장마비의 전조증상을 미리 인지할 수 있다면 빠르게 대처해 생존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증상이 있다면 빠르게 병원에 찾아가서 진료를 받아보셔야 합니다. 진료 후 아무런 문제가 없더라도 반드시 증상을 기억하시길 바랍니다.
심장마비 예방하는 방법
- 스트레스를 최대한 줄여야 한다.
- 신선한 과일 및 채소를 섭취한다.
- 기름진 음식, 육류, 유제품, 가공 식품등 지방 섭취를 줄인다.
- 흡연과 음주를 줄인다.
- 규칙적인 운동으로 체중을 줄인다.
대부분의 예방법은 다 비슷합니다. 당뇨나 고혈압등의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더 철저하게 관리를 해야 합니다. 그리고 중요한 내용 중 한 가지는 가족 중 50대 이전에 심장마비를 경험한 사람이 있는지, 소위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는 40세가 되기 전에 심장 초음파나 심전도 검사를 받아보는 것도 중요합니다.
마지막으로 두 배우님의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실이 별세, 뇌경색 골든타임은 4시간 30분이다! 전조증상은? (1) | 2024.02.20 |
---|---|
뎅기열은 예방수칙! 아스피린과 이부프로펜이 위험한 이유. (17) | 2024.02.15 |
홍역 증상과 해외여행시 홍역 예방수칙을 알려드려요! (17) | 2024.02.05 |
노로 바이러스, 겨울철 식중독의 주범! 어떻게 치료하나요? (1) | 2024.01.09 |
빈대 예방방법 및 퇴치법을 알아보자. (0) | 2023.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