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
(GTX-B).
수도권광역급행철도 일명 "GTX-B노선"이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위원회에서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고 해요.
수도권광역급행철도 GTX란 무엇일까요?
수도권광역급행철도 GTX의 명칭은 흔히 Great Train eXpress의 약자인 GTX로 부르는데, 윤곽이 나온것도 딱히 없어서 확정된 명칭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가장 앞의 G는 사실 경기도가 사업 구상을 내놓으면서 Gyeonggi의 G를 딴 것으로 경기도 버스인 Gbus처럼 경기도를 가리키는 의미가 사실 더 강한데, Great Express Train라는 말이 한국적인 어색한 영어 조어 같지만... Gyeonggi Train eXpress라고 해버리면 특정 지자체의 사업으로 해석될 수 있기에 쓰지 못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 사실 GTX라는 네이밍 자체가 좀 곤란해서 중앙정부에서도 고민했었지만, 딱히 바꿀 적당한 명칭도 없고 이미 널리 쓰이고 있으며, 어차피 실제로 완공되면 노선명을 새로 정하기 때문에 현재는 GTX라는 용어가 계속 통용되고 있다. 그렇기에 국토교통부는 GTX를 정식 명칭으로 사용하지 않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라는 명칭만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한 대로 GTX의 G는 Great의 약자이지만 국토교통부가 G를 경기(Gyeonggi)를 뜻하는 것으로 보는지 MTX(Metropolitan Train eXpress)로 명칭 변경을 검토했으나, 흐지부지 무산됐다. 출처 : 나무위키 |
수도권광역급행철도 GTX의 노선은 총 3개예요.
A노선 :운정-동탄.
B노선 : 송도-남양주
C노선 : 양주(덕정)-수원
처음에 얘기가 되고 타당성 조사를 했었을 당시에
A노선은 1.33으로 경제적 타당성이 입증됐지만
B/C노선은 각각 0.33, 0.66으로 타당성이 없었어요.
예비타당성 조사란? 공공투자사업의 예산편성과 금운용 계획을 수립하기 전 경제적, 정책적 타당성 등을 평가 검증하는 절차다. |
하지만 3기 신도시 개발에 따른 계획 수정으로
약 5년여 만에 사업성을 확보했다고 하네요.
기사 본문내용을 보면 국토부 관계자는
"사업추진 방식이 결정되고, 설계 등
후속절차가 차질 없이 추진되는 경우,
이르면 2022년말 공사에 착수할 수 있을 것"
라며 "수도권 광역교통 여건을 크게
개선할 것으로 기대된다"
라고 발혔다고 하는데요.
2022년말 착공, 2026~2027년 완공 예정이에요.
물론 모든 일들이 계획대로 된다는 가정하에 말이죠.
첫이미지에 있지만 B노선을 다시보자면
'말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튜브 반복재생 하는 방법. (0) | 2019.08.28 |
---|---|
한가위 맞이 벌초. (0) | 2019.08.27 |
아이패드 프로 3세대 11형 셀룰러 (11형 iPad Pro Wi-Fi + Cellular 64GB - 실버) (0) | 2019.08.20 |
태극기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0) | 2019.08.16 |
폭염으로 물 마실 때 주의해야 할 점. (0) | 2019.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