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 숙면의 중요성에 대해서.
전 슬립사이클이라는 어플을 이용해서 수면 상태를
매일 확인하고 숙면을 위해선 어떻게 해야할까
많은 고민을 하는 편인데요.
언제부턴가 코도 많이 골고 꿈도 많이 꿔서
일어나면 개운하단 느낌을 잘 받지 못하고 있어요.
예전에는 몰랐는데 역시 나이가 들면서
사소한 것들에 대한 중요성이 직접적으로 느껴져요.
잠이란, 눈이 감긴 채 의식 활동이 쉬는 상태. 거의 모든 동물은 잠을 자며, 이때 많은 시간에 아무 것도 못하는 무방비한 상태에 처하게 된다. 이처럼 잠을 자는 것이 생존에 따르는 위험성을 더 크게 만들지만 대부분의 동물은 잠을 잔다. 피로를 감지하는 것은 뇌고, 뇌세포의 휴식인 셈. 출처 : 나무위키 |
말 그대로 쉬는 휴식 상태라고 할 수 있는데
과학적으로 우리는 왜 잠을 자는지에 대한
명확한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어요.
다만, 몇가지 가설들만 얘기가 되고 있을 뿐이죠.
- 우리는 잠을 왜 잘까? -
"피로해소, 강제 재충전, 정보 재정리, 뇌 신경 휴식설,
뇌의 독소 제거, 호르몬 주기설, 신체의 고통 회복,
꿈을 통한 욕구해소, 꿈을 통한 시뮬레이션"
이게 바로 잠을 왜 자는지에 대한 가설들이예요.
중요한 건 아니니까 그냥 그러려니 하고 넘어갈께요.
그냥 봐도 건강과 연관성이 아주 높아보여요.
- 어떻게 하면 잠을 잘 잘 수 있을까? -
과학자들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잠은 밤 10시에 자고
아침 6시쯤 일어나는 8시간 사이클이 가장 좋아요.
그리고 잠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게 바로 멜라토닌인데
멜라토닌 분비를 위해 주위를 어둡고 조용하게 해놓고
잠자리에 드는게 가장 중요해요. 만약 작은 불빛들이
만들어지면 낮으로 인식해서 호르몬 분비를 멈추고
그렇게 우리는 잠에서 깨어버리거든요.
실제로 시골에서 잘 때 숙면 성공률이 높아지는게
바로 이런 이유에서 찾아볼 수 있어요.
그외 더 추가적인 몇 가지 방법을 더 말씀드리자면
1. 가능하면 수면 사이클을 정해놓고 잠을 자는게 좋고
2. 몸과 마음을 느긋한 상태로 만들어 놓고
3. 잠자리에서는 전자기기 화면을 없애버리고
4. 카페인은 아침까지 참자.
이 정도가 있다고 하네요.
이제 하나씩 테스트 해보면서 슬립 상태를 보려고요.
잠을 잘자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는 다들 아실테니
여러분들도 오늘밤도 숙면 할 수 있도록 노력해보세요.
추가적인 정보를 더 얻게 되면 포스팅할께요.
그럼 좋은 밤 보내세요. :D
#잠 #숙면 #잠 잘자는 방법
#숙면 하는 방법 #잠의 중요성
포스팅을 잘 보셨나요?
잘 보셨다면 아래 배너를 한번씩 눌러주세요.
포스팅에 큰 도움이 된 답니다.
고맙습니다. :D
↓
'말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년중 낮의 길이가 가장 긴 하지(夏至). (0) | 2019.06.24 |
---|---|
일본지진, 왜 이렇게 자주 발생하는걸까? (0) | 2019.06.20 |
모기는 왜 나만 무는거야? (0) | 2019.06.14 |
2019년 FIFA U-20 월드컵 (FIFA U-20 World Cup Poland 2019). (0) | 2019.06.12 |
올해(2019년)장마기간을 알아봐요. (0) | 2019.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