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프록시 우회 사이트를 통한
차단 사이트 접속하기.
며칠 전 어느 사이트에서 재미있는 이미지를 하나 봤어요.
어떤 이미지였냐면 2019년 1월 그리고 2020년 1월의
국내 웹사이트 트래픽 순위를 비교한 이미지였는데요.
바로 이 비교 이미지인데요. 보시면 어떤게 느껴지세요?
가장 큰 게 뭐냐면 2019년 1월 트래픽 상위에는
x비디오스, 피허브가 떡하니 랭크되어 있는 것에 비해
2020년 1월에는 피허브가 27위, 훨씬 밀려있죠?
2019년 2월 이 후 시작된 "2019년 인터넷 검열"로
사이트별 트래픽이 저렇게 큰 차이가 생기게 된거죠.
자, 그럼 무슨 말을 하고 싶은건데 혓바닥이 기냐?
결론은 간단해요. "차단 사이트 우회하는 방법."에
대한 포스팅을 진행해보려고 하는거랍니다.
뭐 이래저래 많은 방법들이 있지만 복잡한 방법은
다 무시하고 가장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인
웹 프록시 우회 사이트를 공유해보려고 해요.
나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고 하는 상위 사이트에요.
2. https://hidester.com/proxy/
3. https://www.hidemyass.com/ko-kr/proxy
사용방법은 아주 간단한데 사이트 접속 후에 URL에
우회해서 접속하고 싶은 사이트 주소에 접속하면 되요.
차단 된 경우 위와 같이 오류가 뜨면서 접속이 불가한데
웹 프록시 사이트에 접속해서 "Enter Url" 에 주소를 넣고
시작을 누르면 오류가 뜨던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어요.
[ 20년 10월 18일 내용 추가 ]
유니콘 HTTPS를 핸드폰이나 PC에 설치해서 사용하니까
우회 사이트를 이용하는 것보다 더 간편하게 좋더라고요.
그래서 이제는 유니콘 HTTPS를 사용하고 있답니다.
#사이트 우회 #차단 사이트 접속하기 #사이트 우회하기
#차단 사이트 우회하기 #웹 프록시 우회 사이트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나요?
도움이 되셨다면 상/하단의 배너를 한번씩 눌러주세요.
포스팅에 큰 도움이 된 답니다.
고맙습니다. :D
'말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 연휴에 아프면 어떻게 하지? "명절병원" 검색해야지! (0) | 2020.01.22 |
---|---|
윈도우 7 기술지원 종료. (0) | 2020.01.15 |
2020년 예금금리, 적금금리 현황 (2020년 1월 12일 기준) (0) | 2020.01.12 |
한글 및 한글문화를 알 수 있는 곳, 국립한글박물관. (0) | 2020.01.09 |
호주 산불, 남의 일이 아니야. (0) | 2020.01.07 |